방문을 환영합니다.
Extra Form
저자 박성용
출판일 1970-01-01
쪽수 368
가격 15000
책크기 신국판
ISBN 978-89-7071-332-8 (부가기호 : 03330 )
출판사 대장간


[책소개]

“비폭력은 새로운 각본을 배우고 훈련받는 과정이다”
- 폭력, 지배, 갈등이 있는 현장에서 읽히는 비폭력 평화의 바이블!!

한국 비폭력 평화 운동의 정점에서 깨달은 생생한 진리와 지혜의 목소리를 모두 담았다!


추천사
비폭력 평화현장의 활동가들이 적극 추천!
이 책에서는, 살리는 비폭력의 대화야말로 평화를 일으키는 첫발걸음이면서 걸어가야 하는 길 자체이고 도달해야 할 곳이라고 본다. 그것으로 갈등하는 당사자들이 옳고 그름을 떠나서 서로 이해하고 받아들여 모두가 다 얻고 이기는 중재의 길을 찾는다. 옳고 그름을 따지던 갈등이 천사로 변하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
김조년 |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함석헌기념사업회 이사장

나는 박성용 박사의 평화에 대한 열정과 삶을 통해 감명과 영향을 받아 왔다. 이 책은 그가 끊임없이 성숙해 가는 평화 운동가임을 알게 해준다.
송강호 | 개척자들 전 대표, 신학박사

이 책은 평화, 비폭력, 갈등, 비폭력 대화, 서클, 회복적 정의 등, 기독교 운동의 키워드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여혜숙 |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상임대표

이념이나 반대와 저항의 단계를 넘어 현실적인 비폭력의 삶이 어떻게 대중 운동으로 확산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이 책은 비폭력 활동가나 실천가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에게 이 책은 거친 광야에서 불어오는 신선한 바람입니다.
캐서린 한 | 한국비폭력대화센터 소장

특별히 학교 현장의 선생님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동료 교사와 함께 읽고 성찰하고 아이들과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학교 현장에 평화의 바람이 불어오길 소망합니다.
임종화 |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

평화가 너무나도 간절히 필요한 때다. 갈등과 폭력의 문제가 이제는 비단 개인이나 한 국가, 사회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저자는 평화와 화해를 위하여 헌신하는 새로운 '사제직'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이재영 | 한국평화교육훈련원 원장




[저자] 박성용








비폭력 실천과 평화 훈련 영역에서 10년 가까이 일해 온 활동가다. 남과 북의 마을이 서로 가장 가까이 보이는 강화 양사면 철산리 철곳에서 출생하였으며, 그 경계선의 의식이 나중에 감리교신학대학과 대학원을 다닐 때 대화 신학에 대한 에너지를 주었다. 이후 템플대학 종교학 박사 과정을 밟으며 만난 1992년 LA 흑인 폭동, 1997년 IMF 외환위기(곧 '국가부도사태'), 그리고 2001년 9.11 테러 사건 등의 역사적 비극들이 본인이 생각지 못한 비폭력과 평화의 이슈로 걸음을 옮기게 했다. 특히 9.11 사건 당시 미국의 퀘이커 영성훈련센터인 펜들힐에서 지낸 경험이 종교학 학자보다는 비폭력 실천가로서 풀뿌리 현장에서 활동하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2001년부터 4년간 아·태 국제이해교육원에서 시민사회실장을 지냈고, 2005년부터는 비폭력평화물결이란 단체에서 대표로 있으면서 비폭력 영성과 실천에 관련된 훈련가 초빙과 훈련 매뉴얼 작업들을 하면서 현장을 일구는 활동가를 양성하는 일에 노력과 시간을 쏟고 있다. 2000년 중반에 국제 모델인 '삶을 변혁시키는 평화 훈련(AVP;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과 '청소년 평화지킴이(HIPP; Help Increase Peace Program)'를 한국에 소개하였으며, '회복적 서클(RC; Restorative Circle)'도 타 단체와 공동으로 국내에 소개하였다. 현재 이 모델들의 훈련가이면서 '비폭력대화(NVC)',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중재(NVC-based Mediation)' 및 '서클 프로세스' 등의 진행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파커 파머의 '가르칠 수 있는 용기(CTT)' 모델의 자매 프로그램인 '마음비추기 피정'의 진행자 과정을 밟고 있고 최근에는 '재평가 상담(Reevaluation Counselling)'을 국내에 소개하고 이에 대한 실습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비폭력 실천에 대한 피정과 영혼에 관련한 인문학 독서모임도 이끄는 프로그램 중 하나다.
2013년에는 평화와 화해 사역을 위해 광명에서 조그만 평화서클(감리)교회를 개척하여 공동의 진심과 지혜에 근거하는 서클 진행으로 거룩한 현존을 체험하여 온전한 삶으로 나아가는 열린 평화 목회를 해 오고 있다. 침묵, 영적 묵상, 존재론적 시에 의한 내면 성찰, 삶에서 성령의 인도 받기, 거룩한 독서, 홀로 영혼 비추기와 함께 영혼 비추기, 떼제 노래 등의 방식들로 각자의 내면의 진실성과 하느님의 거룩한 인도를 잇는 예배를 경험하도록 하는 목회다.
주로 학교와 시민사회 영역에서 비폭력 실천, 평화 감수성, 갈등 전환과 조정 중재, 평화로운 회의 진행과 기획 전략 모임 진행, 회복적 정의 실천 등에 힘을 쏟고 있는 중이다. 현재 서울 은평의 북한산 자락에서 아내와 두 딸, 그리고 '힌돌이'와 '은달이'로 이름 붙인 페럿 두 마리와 함께 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아시아의 종교 분쟁과 평화』(공저, 2005, 오름),『기독교와 불교의 생태 평화화』(2007, 다산글방),『청소년을 위한 비폭력평화수업 매뉴얼』(2012)을 포함한 몇 권의 비폭력 평화 훈련/실천 매뉴얼이 있다.

이메일 : ecopeace21@hanmail.net
개인 블로그 : www.ecopeace.pe.kr



[차례]
추천의 글 _ 김조년 송강호 여해숙 캐서린 한 임종화 이재영
편집자 서문
들어가는 글1부 관계, 사랑, 비폭력비폭력
1. 약함이 인도하는 비폭력비폭력 삶의 길
2. 온전히 현존함으로 '빛이 생겨라'
3. 증오와 분리를 넘어 마주하는 사랑과 진실
4. 관계를 회복회복하는 데 관심 있는 야훼
5. 맞서 싸운 상대가 천사로 바뀌다
6. 진정성 있고 의미 있는 대화를 위한 원리들
7. 기독교 비폭력기독교 비폭력 비폭력 실천비폭력 실천가가 받는 은총 은총은총
8. 폭력의 각본을 바꾸는 비폭력비폭력의 지혜
9. 예수의 부활은 평화 능력평화 능력의 부여받음이다
2부 자비자비, 연결, 대화
1. 술에 취한 사람에게 손 내민 비폭력 비폭력 대화비폭력 대화
2. 느낌과 욕구를 통해 신의 자비자비를 만나다
3. 진실과 자비자비가 눈에 보이는 대화
4. 마음의 가난과 온유함이 요구되는 비폭력 비폭력 대화비폭력 대화
5. 판단하지 않는 삶에서 받는 충만함
6. 그 땅으로 여호와 앞에 안식하게 하라
7. 작고 여린 타자로부터 열릴 때
8. 피조물의 탄식피조물의 탄식 속에서 성령의 탄식성령의 탄식을 듣다
9.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생명이다
3부 화해화해, 진리, 빛
1. 평화의 능력평화의 능력으로 평화를 살다
2. 검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자녀 되기
3. 풍랑의 에너지를 진리와 생명생명의 에너지로 변화하기
4. 적을 통해 하나님의 모습을 어떻게 볼 것인가?
5. 평화와 화해평화와 화해화해의 제자제자, 바울바울
6. 마태 공동체공동체에서 갈등갈등 해결과 화해화해 사역
7. 세상의 빛세상의 빛과 세상의 소금세상의 소금
8. 펜들힐펜들힐에서 만난 퀘이커퀘이커 평화운동평화운동
9. 기독교 비폭력기독교 비폭력비폭력 영성영성과 실천을 위한 10가지 요소
4부 회복회복, 실천, 평화
1. 출애굽출애굽, 평화의 프로젝트를 요청하다
2. 평화 일꾼평화 일꾼에게 선물이 되는 어둠과 두려움두려움
3. 복음의 핵심인 비폭력 비폭력 실천비폭력 실천 계획하기
4. 예수의 비폭력 비폭력 저항비폭력 저항저항
5. 기독교 평화주의기독교 평화주의의 두 기둥
6. 분단의 아픔이 남긴 상처와 화해화해
7. 바딕에서 신앙을 실천한 테레사테레사와 푸코푸코
8. 새로운 기독 평화 운동 ‘ 회복적 정의 회복 회복적 정의회복적 정의정의’ 운동
9. 비폭력비폭력 평화 훈련평화 훈련을 위한 나의 실험들
색인
?

  1. 매순간 주님과 함께 -절기에 따른 아나뱁티스트 기도묵상집

    [책소개] 아나뱁티스트 기도묵상집 초기 기독교에서 시작하여 여러 시대를 지나온 기도의 방식을 나누는 자리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 책은 그리스도인들이 절기를 따라 묵상하도록 편집한 기도묵상집입니다. 이 책은 예수 그리스도의 분명한 목소리를 듣게하며, 성경을 공동으로 묵상할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을 창조합니다. 성경을 기반으로 한 묵상본문을 읽다보면 아나뱁티스트의 독특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매일 예수의 목소리가 일상의 삶 속에 스며들게 하는 방법을 스스로 찾을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기도문을 드립니다. “우리의 순간들과 나날을 거두소서. 우리의 나날이 주님을 향한 찬양으로 넘치게 하소서.” 추천의 글 매우 훌륭한 기도책입니다! 경 본문과 찬송, 기도문, 그...
    Date2015.11.26 By최고관리자 Reply0 Views427 file
    Read More
  2. 신자들의 교회-영광스러운 교회의 권위

    신자들의 교회의 역사와 특성 저자서문 신자들의 교회(Believers’ Church)라는 용어는 일부 사람을 불쾌하게 만든다. 그들에게 이 용어는 분파정신과 자기만족 냄새를 피운다. 이 용어는 그 개념에 동조하지 않는 모든 사람을 불신자 진영으로 분류하는 듯하다. 다른 이들은 그 교회가 마치 사교 클럽처럼 그 안에 소속되어 있는 모든 개인의 소유라고 주장하는 것과 같은 암시를 받는다. 이러한 비난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응답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보통 사용하는 다른 여러 교파 이름도 어느 정도는 주제넘은 용어라는 점인데, 그 예를 들자면 “정통”(Orthodox), “보편”(Catholic), “개혁”(Reformed) 같은 것이다. 또한, 이 책에서 이 이름 아래 논의된 여러 그리스도교 운동에 참여한 이들은 자...
    Date2015.06.01 By용하다용해 Reply0 Views347 file
    Read More
  3. 교회의 얼굴

    성서에서 찾은 12가지 교회의 이미지 성서는 하나님의 구원 사역이 교회를 토대로 한다고 설정합니다. 교회는 하나님이 통치하시는 실재요, 만물의 회복을 향한 인류 역사의 시험장입니다. 드라이버는 교회가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선교적 목적에 일치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려고 12가지 성서적 이미지를 연구하였습니다. 이 이미지들은 권력과 대화하면서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정체성이 지닌 의미를 반영합니다. 저자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오랜 기간 가르치면서 순례자 이미지, 하나님의 새로운 질서, 백성됨, 변혁 이미지를 탐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교회가 존재의 이유에 일치한 삶을 살도록 영감을 불어 넣습니다. 주류 교회들이 이 책을 통해 말할 수 없는 유익을 얻을 수 있는 탁월한 ...
    Date2015.06.01 By용하다용해 Reply0 Views186 file
    Read More
  4. 그리스도와 권세들-요더총서 10권

    요더 총서 10권 지은이 : 헨드리쿠스 베르코프 출판사 : 대장간 발행일 : 2014년 7월 28일 ISBN : 978-89-7071-330-4 (부가기호 : 04230 ) 세트 번호 : 978-89-7071-315-1 04230(세트) 시중가격 : 8,000원 페이지수 : 88쪽 판형 : 신국판 배본예정일 : 2014년 7월 30일 분류 : 기독교세계관 [책소개] 그리스도와 세상의 권세들 우리의 싸움은 인간을 적대자로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통치자들과 권세자들과 이 어두운 세계의 지배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한 영들을 상대로 하는 것입니다. (에베소서 6:12) 추천사 이것은 강력한 연구다. 한마디로 성경 언어의 후미진 곳을 환히 비추며,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데 이런 개념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 준다. - 알렌 크라이더,『회심의 변질』 저자 베르...
    Date2014.12.13 By용하다용해 Reply0 Views191 file
    Read More
  5. 평화의 바람이 분다

    [책소개] “비폭력은 새로운 각본을 배우고 훈련받는 과정이다” - 폭력, 지배, 갈등이 있는 현장에서 읽히는 비폭력 평화의 바이블!! 한국 비폭력 평화 운동의 정점에서 깨달은 생생한 진리와 지혜의 목소리를 모두 담았다! 추천사 비폭력 평화현장의 활동가들이 적극 추천! 이 책에서는, 살리는 비폭력의 대화야말로 평화를 일으키는 첫발걸음이면서 걸어가야 하는 길 자체이고 도달해야 할 곳이라고 본다. 그것으로 갈등하는 당사자들이 옳고 그름을 떠나서 서로 이해하고 받아들여 모두가 다 얻고 이기는 중재의 길을 찾는다. 옳고 그름을 따지던 갈등이 천사로 변하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 김조년 |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함석헌기념사업회 이사장 나는 박성용 박사의 평화에 대한 열정과 삶을 통...
    Date2014.12.13 By용하다용해 Reply0 Views18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